하천울산

반구대암각화 보존 방안

아쿠오 2018. 10. 25. 08:36


<< 반구대암각과 보존 방법에 대한 의견을 울산시민연대 밴드에 올렸습니다 >>


아래의 김태근님의 의견에 부응하여 반구대 암각화 보존 대책을 제안해 보겠습니다.
여러분들의 다른 의견이나 보완 의견을 환영합니다.

1. 현황
ㅇ 울산시는 회야·사연·대암·대곡댐의 물을 정수한 수돗물 사용 중
ㅇ 울산시 상수원수 중의 29%는 낙동강 하류(물금)에서 취수
ㅇ 울산의 상수 수질분석 결과는 양호 (각각 약 400억원 상당의 고도정수처리시설 보유 가동 중)
ㅇ 그러나 시민들은 분석 수치와 무관하게 여러 가지 불안감으로 직접 식용을 꺼림
ㅇ 현실적으로 다수의 시민들은 비싼 정수기를 들여놓거나 생수를 사서 먹고 있는 실정
ㅇ 사연댐의 담수 시 반구대 암각화가 물에 잠겨서 문화재 훼손 발생
ㅇ 사연댐 담수 포기 시, 울산시는 사연댐 담수 가능량 만큼의 낙동강 원수 추가 구매 필요

2. 검토
ㅇ 사연댐 대체 상수원 개발은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거나, 대체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
ㅇ 현재 울산시 수돗물의 수질은 낙동강 원수가 사용될 때에도 분석 수치상 아무 문제가 없으므로 가정에서 목욕, 세탁, 설거지 등 일상적 사용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음
ㅇ 통계에 따르면 전체 상수도 물 중 식용 비율은 약 0.8% 수준에 불과
ㅇ 따라서 총 소요량 중 이 0.8%의 용도를 맞추기 위해서 전체 물을 생수 또는 정수기 물 수준으로 향상시키려고 고심하거나 비용을 지출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못함

3. 대안
ㅇ 양질의 식용수 전용 취수 시설을 확보하고, 최상의 정수 시설을 갖추어 울산 시민들에게 일인당 일정 양씩을 무료 또는 최소한의 수수료로 공급해주는 체계를 수립, 가동
ㅇ 사연댐은 해체하여 재자연화
ㅇ사연댐 포기에 따른 낙동강 원수 구입 증대분은 국가로부터 비용 감면 요청

4. 효과
ㅇ 시민 만족도 향상
- 수돗물 불안감 해소
- 정수기 구매 또는 병입수 구매비용 절약
ㅇ 일자리 창출(유통비용 배분)
ㅇ 환경 보전
- 암각화 보존
- 댐 재자연화에 의한 자연환경 회복 사례

5. 문제점
ㅇ 정부 비용 발생
(현재까지 제안된 다른 제안들에 비하여서는 비용 발생이 낮음)
ㅇ 민간 부담금 발생
(기존 정수기 또는 병입수 사용 시민들의 입장에서는 비용 절감 효과)


https://band.us/band/8322213/post/126898734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