(세이프유님의 답변)
풍화와 토양
1. 풍화와 풍화 작용
(1) 풍화 : 암석은 단단해서 변하지 않을 것 같지만 지표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비바람을
맞으면 부서져서 작은 돌 조각이 되며 더욱 오랜 세월에 걸쳐 비바람을 맞으면
마침내 흙으로 변하게 된다. 이와 같이 암석이 지표에서 점차 작게 부서지는 과
정을 풍화라고 한다.
(2) 풍화 작용 : 암석이 여러 작용에 의해 부서지고 분해되어 작은 돌 조각이나 모래, 진흙
으로 변하는 과정을 풍화 작용이라고 한다.
(3) 풍화 작용의 예
① 오래 된 비석이나 탑을 문질러 보면, 모래와 같은 작은 알갱이가 부서져 떨어진다.
② 오래 된 비석의 비문에는 흐려서 알아보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.
③ 풍화된 암석의 표면은 광물들이 뚜렷하게 구별되지 않으며, 암석의 신선한 면에 비
해 많이 변해 있다.
(4) 풍화 작용이 일어나는 장소 : 풍화 작용은 지표면뿐만 아니라 땅 속에서도 일어난다.
2. 풍화 작용의 원인
(1) 암석의 풍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공기와 물이다. 그 밖에 식물의 작용, 기온
의 변화 등도 풍화에 영향을 준다.
(2) 기계적 풍화 작용
① 기계적 풍화 작용 : 물리적 힘에 의한 풍화 작용을 기계적 풍화 작용이라고 한다.
② 물의 결빙 작용 : 암석의 틈에 들어간 물이 얼게 되면 부피가 약 9% 정도 늘어나게
되는데, 이 때 얼음은 마치 쐐기와 같은 작용을 하여 암석의 틈을
더욱 벌린다.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암석은 잘게 부서진다.

③ 식물의 작용 : 암석의 틈 속으로 들어간 식물의 뿌리가 자라면서 바위의 틈을 넓히
고 암석을 잘게 부순다.
(3) 화학적 풍화 작용
① 화학적 풍화 작용 : 화학적 풍화 작용은 암석의 성분을 변화시키는 것으로, 온난하
고 습윤한 열대 지방이나 해안 지방, 저지대 등에서 활발하게 일
어난다.
② 산화 작용 : 산소가 암석 중의 한 성분과 반응하여 암석의 성분을 녹슬게 하는 작용
이다.
③ 용해 작용 : 이산화탄소가 녹아 있는 물이 석회암을 쉽게 용해시킨다.
토양의 단면 : 성숙된 토양은 몇 개의 층으로 구분된다.
① 표토 : 식물이 자라는 맨 위층을 표토라고 하며, 생물의 유해나 부식물로 된 부식토
가 포함되어 있어 식물이 잘 자란다.
② 심토 : 표토에서 분해된 물질이 지하수에 섞여 흐르다가 쌓인 층을 심토라고 한다.
③ 모질물 : 기반암이 풍화되어 만들어진 자갈과 모래로 된 층을 모질물이라고 한다.
④ 기반암 : 풍화되지 않은 암석으로 이루어진 맨 아래층을 기반암이라고 한다.
-성숙한 토양의 생성 순서와 구조
① 성숙한 토양의 생성 순서 : 기반암→모질물→표토층→심토층
② 성숙한 토양의 구조 : 기반암→모질물→심토→표토
유수의 작용에 의한 지형
(1) 상류 지형 : 경사가 급해서 물의 흐름이 빠르기 때문에 침식 작용이 활발하고 V자곡,
선상지, 폭포, 암반 노출 등의 지형이 생긴다.
① V자곡 : 계곡의 바닥이 깊게 패이고, 양쪽은 급경사의 절벽을 이루어 단면이 V자 모
양인 계곡을 형성한다.

② 선상지 : 산지와 평지가 이어지는 경계에서 갑자기 유수의 흐름이 느려져서 상류로
부터 운반되어 온 자갈, 모래, 진흙 등이 쌓여서 부채꼴 모양의 퇴적 분지를
형성한다. 선상지에 쌓이는 퇴적물은 주로 모가 난 자갈이나 굵은 모래 등
인데, 입자의 크기나 밀도에 따라 잘 나누어져 있지 않다.
③ 기타 지형 : 암반 노출, 폭포 등
(2) 평지 지형 : 경사가 완만해서 물의 흐름이 약하기 때문에 운반 작용과 퇴적 작용이 강
하고 곡류, 우각호, 삼각주 등의 지형이 생긴다.
① 곡류 : 강물이 평지를 흐르는 동안 물의 흐름이 느려서 장애물에 의해 구불구불하게
흐르는 물줄기를 말한다.

㉠ 곡류에서의 침식과 퇴적 : 물줄기의 바깥쪽은 유속이 빠르므로 침식 작용이 활
발하고, 안쪽은 유속이 느리므로 퇴적 작용이 활발하다.
㉡ 곡류의 이동 : 시간이 흐르면서 강줄기는 형태도 변하고 위치도 점차 하류 쪽으
로 이동하게 된다.
② 우각호 : 물줄기의 흐름이 바뀔 때 곡류였던 부분이 분리되어 생기는 쇠뿔 모양의
호수를 말한다.

③ 삼각주 : 강의 하구에서 유속이 느려져 물줄기가 갈라지고 퇴적물이 삼각형 모양으
로 쌓인 지형을 말한다.
㉠ 삼각주의 형성 : 강의 하구에서 유속이 느려지면 강물에 운반되어 온 물질들이
퇴적되고, 물줄기가 여러 갈래로 갈라져서 삼각주가 형성된다.
㉡ 삼각주의 예 : 낙동강 하구, 미시시피 강 하구, 나일 강 하구 등을 예로 들 수 있
다.
④ 범람원 : 홍수가 지나간 후 운반되어 온 물질이 바닥에 쌓여 생성된 넓은 퇴적 지형
을 말한다.

'토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대강 사업으로 '해충 대란'…"공포의 깔따구 잊었나" (0) | 2010.03.17 |
---|---|
저농도 에탄올을 이용하는 새로운 토양 소독법 (0) | 2010.02.19 |